국내 중소 건설업체 대부분 여전히 경기 부정적 시각

중소 건설 업체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14년부터 국내 건설 수주가 회복되는 상황에 있으나 국내 중소 건설회사의 대부분이 여전히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한국건설사업연구원에서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일부터 10월 14일까지 국내 중소기업 건설기업 197개 업체 중 73.9%가량이 국내 전체 건설경기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중소 건설시장은 88.1%가 나쁘거나 매우 나쁘다는 응답이 나왔다.

대기업 대비 중소 건설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수준에 대해서는 100점을 만점으로 전체 평균에 42.1점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바라본 시각으로는 중소 건설업계가 자신들의 경쟁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공사수행 경험 부족과 기술개발부족, 경영 전략의 부재, 공사관리 능력의 부족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소 건설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온 이유로는 ‘공공 발주 공사 물량의 감소’가 61.8%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 국가 경제부진의 장기화와 건설시장 참여 기업의 증가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 건설기업 중 49.5%의 경우 수주 감소에 따른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신시장 진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나 가능성은 6.2%가량만 높게 평가하여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 건설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신시장으로는 소규모 에너지시설과 주택가 생활 공원 등 생활형 기반시설 분야가 절반을 넘었으며 도시재생분야와 리모델링 분야, 안전 및 유지보수 관리 분야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해외 건설시장은 응답 기업의 대다수가 중소 건설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시장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답했다.

한국 건설사업연구원은 “기존 여러 지원제도 중에서 중소 건설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실효성이 큰 자금 지원, 기술 개발 지원, 기업경영 컨설팅 및 정보화 지원제도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계정관리 허술하면 기업들 위험하다.

계정관리

글로벌 보안조사에 따르면, 무계획적인 계정관리로 인한 기업 보안에 큰 리스크가 따른다고 나타났다. 다이멘셔널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서 따르면 계정 관리와 관리 비밀번호에 대해 80%이상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정관리에 관하여 37%가량의 응답자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관리자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여러 관리자가 관리하는 경우가 같은 비율이었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이처럼 계정관리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으나 프로세스를 이행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계정 권한을 관리하는 데 수동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수동 프로세스는 사용 시 오류가 나기 쉬우며 손상 될 확률도 높다. 또한 처리부분에 관해서도 해결을 방해하기도 한다.

다이멘셔널 보안을 책인지는 IT 담당자 560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대상 국가로는 미국과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서 진행되었다.

해커들이 찾고자 하는 것은 바로 계정 권한이다. 계정 권한은 어떤 회사 안으로 들어가는 키가 되기 때문에 이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험을 완화하고 계정들을 확실하게 통제하고 보호하려면 보안 감사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호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따라서 계정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정 권한 관련 정보에는 사용자와 사용하는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계정 권한 암호가 안전하게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암호 관리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개개의 최소 접근 권한을 구분하고 모든 접근 권한에 로그인 하거나 모니터링에 철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지적으로 접근권한 사용을 감시해야한다.

한국은행, “1년 내 금융시스템 리스크 온다”

금융리스크

금융시스템 리스크 발생에 대한 위기감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는 중국 경기 둔화와 미국 금리 정상화가 가장 큰 잠재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이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 참가자 72명,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9명 등 81명을 대상으로 ‘시스테믹 리스크 서베이’를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설문 결과에는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높다라고 답변한 비율이 지난 5월에 비해 두 배 넘게 증가한 15%에 달한다. 반면 낮다는 답변의 비율은 같은 기간 58%에서 14% 낮아진 44%였다. 보통이라고 답변한 사람은 41%로 같은 기간에 소폭 증가했다고 발표되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중국 경기둔화를 중·단기 리스크로 보며 미국의 금리 정상화를 단기 리스크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계부채 문제는 1~3년 사이의 리스크로 보았으며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자본유출을 우려하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1~3년 중기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변한 비율도 같은 기간 5% 증가 하였으며 낮다는 답변 역시 5% 줄었다.

주요 리스크 순위도 뒤바뀌어 중국 경기 둔화가 답변율 1위에 올라으며 미국금리 정상화, 가계부채 문제가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