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시장진출전략 설명회를 통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 전략 발표

해외시장진출설명회

올해에는 미국과 중국 즉 G2에 대한 공략이 중요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으며, 신흥시장의 경우 제조, 판매, 연구개발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KOTRA)는 5일 코엑스에서 ‘2016 세계시장진출전략 설명회’를 가지고 올해 주요 수출유망 지역을 분석하고 해외진출 기회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올해로 16회째를 맞으며 최근 수출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출기업 관계자가 500여명이 참석하는 등 수출에 대한 관심이 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설명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세계 교역 둔화의 원인에 대한 분석, 주요 권역별 시장에 대한 전망 및 진출에 대한 전략 발표 등이 진행되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소비시장으로는 G2가 꼽혔다.

정구현 KAIST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최근 세계교역의 둔화원인으로 원자재 가격하락과 신흥국 경기부진 등을 지적하였으며, “우리 경제를 서비스, 온라인, 지식기반 경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트라 북미지역 본부장은 현재 미국시장이 저유가, 고용시장 개선 등으로 인하여 회복세를 보인다며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회하는 3%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트라 중국지역 본부장 역시 중국시장이 소득수준 향상과 도시화 진전, 내수중심의 성장패러다임 전환 등으로 인하여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럽은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등을 통한 소비재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며 아세안 시장도 중산층 인구 증가로 인하여 고가 소비재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중동과 러시아 등 산유국 외에도 제조업 기반이 약한 신흥국에서 제조업 육성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특히 러시아에서는 ‘2015 경제위기 대응계획’을 통하여 제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인도의 경우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통해 중국에 대체하는 세게 제조업 중심지로의 변모를 꾀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이란, 쿠바 등 경제제재 해제시장, 미국 경기회복의 직접적인 수혜국인 멕시코시장, EU 기금으로 추진되는 동유럽 프로젝트 시장,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출범으로 확대되는 아시아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시장, 아세안 한류 시장 등도 주목해야 할 시장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과거와 같은 단순 상품 수출에서 벗어나서 국내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제조기술 및 노하우를 활용하여 제조, 판매, 연구개발 등 제조업 가치사슬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협력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이관섭 산업부 제 1차관은 “올해도 중국의 성장 둔화와 저유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경기 둔화 등으로 수출 여건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정상 외교를 통해 구축된 협력관계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활용하여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소비재 등 유망품목을 새로운 수출품목을 육성, 주력산업의 경쟁력은 높이기 위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간다면 현재의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